부동산의 맥 중 1. 요약
부동산 투자의 종류: 시세 차익형, 임대 수익형 시세 차익형 - 하이리스크, 하이리턴, 미래 상승 예측 필요, 매도시 확정 임대 수익형 - 로우리스크, 로우 리턴, 매수시 수익 확정 상승기 - 시세 차익형, 금리 인상 (경기가 좋으면 금리도 부동산도 상승) -> 예금/대출 금리 인상, 임대 수익과 격차가 줄어듦. 임대 매력 줄어듦 하락기 - 임대 수익형, 금리 인하 (경기가 안좋으면 금리도 부동산도 하락) -> 예금/대출 금리 인하, 임대 수익 메리트 증가 변곡점에서는 시세차익형의 임대 수익이 늘어나거나, 임대 수익형의 차익이 느는 등 복합적인 결과도 가져온다. 추세를 살펴서 투자를 해야 한다 |
* 금리 인하와 공급 부족이 같이 만난 2019~ 2020 현재 장에서는 경기는 안좋지만 금리 인하로 인한 추가 유동성과 공급 부족이 맞물려 전세가격의 상승 및 매매가의 상승을 불러 일으킬 것으로 추정.
* 그럼, 유동성으로 인한 부동산 시장 상승기에는 금리가 상승하는것을 경계하는 것이맞는가?
# 결론 : 금리와 부동산의 상관관계는 다른 요인도 같이 살펴 추정해야 한다.
* 그럼, 유동성으로 인한 부동산 시장 상승기에는 금리가 상승하는것을 경계하는 것이맞는가?
# 결론 : 금리와 부동산의 상관관계는 다른 요인도 같이 살펴 추정해야 한다.
댓글
댓글 쓰기